한나절 동안을 좁은 비행기 좌석에 앉아 고생하면서 영국에 도착했지만, <올댓부츠>는 사실 피곤함보다 즐거움이 앞섰다. 나름대로 축구화에는 일가견이 있다고 자부하고 있었기 때문에 축구화 선진국인 유럽의 경향을 맛볼 수 있다는 사실에 가슴이 뛰었다. 게다가 영국은 자타가 공인하는 축구화 쇼핑의 메카가 아닌가! 결론적으로 신대륙으로 신문물을 찾아 떠나는 선구자의 기분이랄까. 물론 독자들에게 미리 이야기했던, ‘축구화는 곧 축구 문화’라는 말을 증명하겠다는 사명을 길 앞에 세웠다는 점만은 확실하다. 지금부터 <올댓부츠>가 축구화와 6박 7일 동안 동고동락하며 듣게 된 이야기를 여러분께 소개한다.
런던 시내의 크고 작은 용품샵과 각 브랜드 매장을 둘러보면서 가장 놀랐던 것은 한국과 너무나도 다른 축구화의 종류였다. 한국 매장에는 FG(Firm Ground)스터드와 HG(Hard Ground)스터드를 장착한 모델들이 대부분인데 비해서 영국, 프랑스 매장에는 거의 SG(Soft Ground)스터드 축구화만이 전시돼 있었다. 더 재미있었던 것은 중급과 하급 모델에도 SG스터드를 찾아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사실 한국에서 SG스터드 축구화는 고급 축구화의 전유물 또는 선수용 축구화로 알려졌다. 그만큼 매장에서 보기 어렵고, 구매하는 이들도 매우 적다. 하지만, 유럽에서는 이런 축구화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고, SG스터드 축구화를 이리저리 둘러보다가 계산대로 가지고 가는 소비자들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왜 이런 차이가 생겼을까? 얼핏 복잡한 설명을 요하는 이 질문은 생각보다 쉽게 풀린다. 바로 땅, 운동장의 차이다. 한국에는 소위 흙 바닥 운동장이 보편적인 데 비해서 잔디가 지천으로 널려 있는 유럽에서는 잔디 운동장이 수두룩하다. 이러한 운동장에는 당연히 SG스터드와 FG스터드가 필요하다. 그런데 유럽 잔디는 잘 알려진 대로 푹신푹신하다 못해서 거의 진흙과 같이 무르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는 더 지지력이 좋은 SG스터드 축구화가 사랑을 받는 것이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박지성이 유럽에서 치러지는 EPL이나 챔피언스리그 경기에서는 SG스터드를, 국내에서 치러지는 국가대표팀 경기에서는 FG를 선호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재미있는 사실은 영국에서는 화려한 색상 축구화가 별로 팔리지 않는다. 이것은 영국인들의 우울한 기질과 관계가 있다. 영국에서 학창 시절을 모두 보낸 어떤 유학생은 “화려한 축구화를 신으면 악의적인 태클을 각오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전했고, 위건 애슬래틱의 조원희도 “영국에서는 날렵한 축구화보다 투박하고 믿음직스러운 것들이 선수들에게 사랑받는다”고 증언했다. 화려한 축구화를 선호하는 독자 중에서 영국 어학연수나 유학을 생각하고 계신 분은 꼭 유념하시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