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선수들의 벗 아식스
2009.06.30 11:57:05


나이키-프로스팩스 등이 등장(1981년 경)하기 전까지 국내에는 질 좋은 가죽 스포츠화가 생산되지 않았다. 그렇다 보니, 전문 스포츠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성인 운동 선수들의 경우엔 어쩔 수없이 아디다스, 아식스, 미즈노 등의 값비싼 외국 제품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축구 선수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당시 국내 성인 선수들은 아디다스와 아식스 축구화를 많이 신었다. (참고: 미즈노는 1980년대 초까지 모렐리아 라인을 생산하지 않았다.)

70년대 한국 축구 대표팀은 아디다스와 아식스에서 유니폼을 비롯한 용품을 후원 받은 듯한데 특히 78년 방콕 아시안게임 때는 대표팀 유니폼, 스타킹, 축구화 모두 아식스 제품이었다.

뿐만 아니라 국내 최초의 프로 축구팀인 할렐루야는 창단 때부터 유니폼을 비롯한 모든 용품이 아식스 제품이었다.(할렐루야도 아식스사로부터 후원을 받은게 아닌가 생각된다.) 그 당시 할렐루야 제 1 유니폼이 상의가 노란색, 하의가 남색, 스타킹이 노란 색이었는데 선수들 축구화도 검정색 가죽에 노란색 라인이 그어진 제품이었던 터라 마치 유니폼과 축구화가 한 세트처럼 보였다. 흰색 라인이 그어진 축구화를 신은 선수도 몇 명 있었지만 노란색 라인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94년 미국 월드컵 때도 당시 독일 분데스리가 보쿰에서 활약하는 김주성이 아디다스 축구화, 일본 J리그 산프라체 히로시마에서 뛰는 노정윤이 푸마 축구화를 신었고, 그 외 선수들은 아식스 축구화를 신었다. 이렇듯 우리 선수들은 과거부터 아식스 축구화를 즐겨 신었는데 그 중에서 유독 아식스 축구화를 애용한 이가 현 전북 현대 감독인 최강희다. 최강희는 이에 대해 얼마 전, [올댓부츠] 인터뷰에서도 밝힌 바 있다.

우신고 출신인 최강희는 83년 포철에서 한 시즌을 보낸 후, 이듬 해인 84년 현대로 이적해 92년까지 부동의 오른 쪽 사이드백으로 활약하며 프로 통산 207경기에 출장했다. 28세 때인 88년에 늦각이로 대표팀에 발탁된 최강희는 서울 올림픽과 같은 해 12월 카타르에서 열린 제 9회 아시안컵 축구 대회에 참가했고, 2년 후인 90년 이탈리아 월드컵에서는 3경기 모두 주전으로 풀타임 활약했다.

90년 월드컵 당시, 신예 황선홍과 수비수 박경훈이 프로스팩스 축구화를 신었고, 그 외 선수들 대부분이 아디다스 축구화를 신었는데 최강희는 3경기 모두 아식스 축구화를 신고 뛰었다. 최강희는 축구화 끈을 매고난 뒤, 그 위에 흰색 테이프(반창고)를 발등에서 발바닥 쪽으로 몇 차례 칭칭 감는 특징도 갖고 있었다. 대기만성의 표본인 최강희는 체구는 작았지만 강인한 정신력과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지구력을 자랑한 수비수였는데 그는 현역 시절을 아식스 축구화와 함께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필자의 뇌리에는 지금도 '최강희=아식스 축구화, 아식스 축구화=최강희'란 이미지가 강하게 남아있다. 같은 시기, 최강희 외에 아식스 축구화를 즐겨 신었던 선수가 최인영 골키퍼였는데 공교롭게도 두 사람은 현재 전북 현대 감독과 코치로 호흡을 맞추고 있다.

조만간, 이 코너에서 아식스사의 역사 및 아식스 축구화를 즐겨 신었던 세계적 선수들에 대해서도 다뤄볼까 한다.

덧. 78년 방콕 아시안게임 축구 결승전, 남-북 대결에서의 차범근 모습을 보면 축구화 뿐 아니라 유니폼, 스타킹 모두 아식스 제품인 걸 알 수 있다. 언뜻 보면 세 줄이 그어진 아디다스 유니폼 갖지만 두 줄이 그어진 아식스 유니폼이다. 당시 아식스는 한 줄은 굵고, 한 줄은 가느다란 디자인이었다.

필자인 김유석은 어린 시절 수없이 효창 운동장 담벼락을 넘었던 진정한 사커 키드다. 모두 대통령을 꿈꾸던 시절 홀로 차범근이 되겠다고 결심했던 이가 바로 그다. 축구를 풍성하게 하는 것에 관심이 많다.

댓글0

댓글쓰기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