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부진' 그리즈만, 어김없이 흔드는 잡음

  앙트완 그리즈만(26)이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이적 후 최악의 행보를 보이고 있다.  그리즈만의 득점포가 어느새 7경기째 침묵하고 있다. 지난 9월 첼시와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서 골을 기록한 이후 한 달 넘게 골맛을 보지 못하고 있다. 올 시즌 고작 3골에 머물러 있다.  지난달 막바지 비야레알과 카라바흐전에서 도움은 올렸으나 그리즈만에게 필요한 것은 득점이다. 지난 2014년 아틀레티코에 입성한 그리즈만은 투톱 자원에서 잠재력을 폭발했다. 이전까지 측면과 2선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던 그는 아틀레티코를 통해 세계 최고의 최전방 자원으로 올라섰다.   지난 세 시즌 동안 그리즈만은 아틀레티코의 득점을 책임졌다. 입단 첫 시즌 53경기서 25골을 넣은 그는 2015/2016시즌 32골, 지난 시즌 26골을 뽑아냈다. 시즌마다 2~30골을 보장하는 공격수가 된 그리즈만을 중심으로 아틀레티코의 공격은 진행된다. 수비에 집중하면서도 유럽 최정상의 팀이 된 것도 그리즈만의 한방이 고비마다 터져줬기 때문에 가능했다.  올 시즌은 여러모로 답답하다. 그리즈만이 침묵하면서 아틀레티코도 덩달아 몇년새 최악의 빈공에 시달린다. 그리즈만 본인도 답답하다. 현재 아틀레티코는 전반적으로 공격진의 힘이 빠졌다. 코케가 부상으로 빠졌고 앙헬 코레아는 득점을 위해 활동반경이 최전방으로 굳어졌다. 케빈 가메이로, 루시아노 비에토, 페르난도 토레스 등 다른 공격수들은 큰 존재감을 보여주지 못한다.   결국 아틀레티코를 상대하는 입장에서 그리즈만에게 견제가 쏠릴 수밖에 없고 그리즈만도 도움 없이 홀로 공격을 이끄려다보니 한숨을 내쉬고 있다.  에이스가 부진하면 잡음은 어쩔 수 없다. 그리즈만도 마찬가지다. FC바르셀로나가 내년 여름 그리즈만을 영입할 것이란 이적설이 당연한 수순처럼 따라왔고 그리즈만 본인의 불만도 이야기가 나돈다.  '아스'를 비롯한 스페인 언론은 "지난 주말 데포르티보전에서 경기 전 선발 선수들이 사진 촬영을 할 때 그리즈만이 먼저 대열에서 이탈하는 사진이 팬들 사이에서 돌기 시작했다"며 그리즈만의 태도를 문제 삼았다.     여기에 그리즈만의 동생이 자신의 SNS 계정을 통해 "아틀레티코가 그리즈만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며 "그리즈만에게 공조차 가지 않는다"고 비판했다가 긴급하게 삭제하기도 했다. 여러모로 그리즈만을 두고 잡음이 커지는 중이다.  아틀레티코의 동료는 그리즈만에게 신뢰를 보낸다. 베테랑 수비수 후안프란은 "그리즈만은 평온하다. 우리는 그를 여전히 지지하며 이것은 정말 중요한 부분"이라고 믿음을 강조했다.    출처:스포탈코리아

11월07일

[원투펀치] 차범근이 분데스리가에서 뛸때 힘들었던 점.txt

[원투펀치] 차범근이 분데스리가에서 뛸때 힘들었던 점.txt         - 일단 꿈에서나 뛸 줄 알았던 분데스리가에서 뛰다보니 경기가 잘 안풀릴때 상대방과 기량차이를 느낄때 가 있다    - 독일은 철저히 리그 시스템으로 진행되어 육성 된 선수들이였다.    반면에 나는 토너먼트형식만 경험 해보았기 때문에 차이가 있었다   (아마 리그는 긴호흡으로 진행되고 토너먼트는 짧게 진행되는 것에 대한 차이를 말씀하신 듯)   - 분명 내가 돌파하면서 나가면 아시아에선 따라오는 선수가 없었다.    하지만 독일은 내가 돌파하고 나가면 뒤에서 태클로 공을 걷어가더라    한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것을 당해보니 공격수로서 두려움이 생겼다.    한국에서는 태클을 뒤에서 하진 않는다. 하지만 독일에서는 뒤에서도 막들어온다.   - 훈련에서 오는 차이를 극복하는 데만 3년이 걸렸다.   한국에선 훈련을 2시간 반에서 3시간 정도 길게 한다.   그렇게 훈련하게되면 100퍼센트의 힘으로 집중해서 2~3시간동안 훈련할 수 없다.   무의식중에 60~70프로의 힘으로만 분배해서 훈련을 소화하는 것에 익숙해져 있었다.   - (이어서) 하지만 독일시스템은 딱 경기시간 90분동안만 훈련을 진행한다.   무의식중에 힘을 덜 쓰는 훈련에 익숙해져 있다보니   훈련이 끝나고도 힘이 남아 30분넘게 개인훈련을 진행했다.   이렇다보니 처음 2년간은 28경기정도 뛰면 항상 근육부상으로 시즌을 마칠수 밖에 없었다   시즌을 처음으로 34경기 전부 뛴게 3년차부터다.   - 이때부터 훈련에 100퍼센트 집중할수 있었고   대강 이쯤되면 태클이 들어오겠구나 감이 오더라   출처 에펨코리아( 황티뉴1군종신 ) http://www.fmkorea.com/best/828138394

11월07일

월드컵 공인구의 역사 1970~2018

[월드컵 공인구의 역사 1970~2018]   월드컵이 열리면 축구로 전 세계인이 하나가 된다. 세계 최고의 선수들이 자신의 국가를 위해 그라운드에 나서고, 사람들은 열광한다. 그런데 여기에는 가장 중요한 손님이 필요하다. 바로 공이다. 선수들은 공에 따라 울고 웃고, 팬들도 마찬가지다. 공은 곧 월드컵과 같다.     사람들이 공인구에 열광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다. 공인구는 각 월드컵의 상징과도 같다. 공인구의 역사는 47년밖에 되지 않았지만, 의미는 대단하다. 47년 동안 이어진 공인구의 역사를 <올댓부츠>가 돌아봤다.   텔스타(TELSTAR) 1970년 멕시코 월드컵   월드컵 역사상 첫 번째 공인구. 당해 월드컵이 세계 최초로 위성 생방송이 됐다 해서 ‘텔레비전 속의 별’, 텔스타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천연가죽으로 만들고 여느 공과 다를 바 없었는데 손으로 꿰맨 32개의 패널(12개의 검정 오각형과 20개의 하얀 육각형)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차별화됐다.     텔스타(TELSTAR)/칠레(CHILE) 1974년 서독 월드컵   1974년 월드컵에서는 두 개의 공인구가 사용됐다. 글자색만 검은색으로 대체된 텔스타와 패널 전체가 흰색인 칠레가 그것. 전반적으로 텔스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탱고(TANGO)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   그 유명한 탱고다. 삼각 모양의 20개의 패널과 12개의 원으로 축구공의 클래식이 됐다. 디자인상으로는 아르헨티나 민속춤인 탱고의 열정과 감정, 우아함을 형상화했다. 이전 모델이 습기에 약하다는 점을 보완했다     탱고 에스파냐(TANGO ESPANA) 1982년 스페인 월드컵   탱고 디자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채 재질만 바꾸었다. 최초로 가죽과 폴리우레탄을 결합했고, 방수가죽을 사용해 공에 물이 스며드는 것을 막았다.     탱고 아즈테카(TANGO AZTECA) 1986년 멕시코 월드컵   최초의 인조피혁구다. 계속 문제가 되어온 방수 문제를 더욱 개선했고, 공의 내구성도 높였다.     탱고라인 중에서는 가장 화려한 무늬를 자랑하기도 한다. 고대 아즈텍의 벽화 문양을 형상화시킨 탓이다.     에트루스코 유니코(ETRUSCO UNICO)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   폴리우레탄 폼(Foam)을 사용해 완전 방수 효과를 이뤄냈다. 또한, 당대 축구공 중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했다. 이것 역시 20개의 탱고 문양을 유지한 채 이탈리아 고대 유적인 에트루리아 사자머리 문양을 넣어 이탈리아 냄새를 물씬 풍겼다.     퀘스트라(QUESTRA) 1994년 미국 월드컵   퀘스트라는 기포를 주입했다는 뜻으로 미세한 공기층이 있는 합성수지로 표면을 처리해 반발력과 탄력이 이전 공인구보다 월등히 향상됐다. 실제 미국 월드컵에서 게임당 평균 골 수는 2.71골이었는데 전 대회보다 0.5골이나 많았다.     트리콜로(TRICOLORE)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역대 최초의 원색 월드컵 공식구였다. 프랑스 국기의 3색과 프랑스 국가의 전통, 프랑스축구협회의 상징인 수탉을 표현하기 위해 트리콜로(3가지 색깔)라고 명명했다.     신택틱 폼이라는 신소재를 사용해 반발력, 탄성, 공의 속도를 극대화했다고 평가받았다.     피버노바(FEVERNOVA) 2002년 한일 월드컵   1970년 이래 월드컵 공인구의 대명사가 돼버린 텔스타와 탱고 스타일을 과감히 버리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채택했다. 발전된 신택틱 폼을 사용해 축구공 표면의 반발력을 향상시키고 정확도를 높였다.     팀가이스트(TEAMGEIST) 2006년 독일 월드컵   팀가이스트는 ‘팀 정신’을 의미하는 독일어다. 개인 기량보다는 팀 정신을 중요시하는 주최국 독일 축구 전통에 대한 존중을 담았다. 기존 32개의 패널을 14개로 파격적으로 줄여 완벽한 구체에 가까워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덕분에 정확도와 궤적 예측이 가능했다.     자블라니(JABULANI)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아프리카에서 처음 열린 2010 남아공 월드컵은 획기적인 공을 사용했다. 자블라니 표면에 돌기로 적용된 Grip n’ Groove 기술은 선수들이 드리블 기술을 과시할 수 있도록 해주었고, 8개의 열 접착 3D 패널 덕분에 이전보다 더 구(毬)에 가까운 형태로 공을 제작할 수 있었다. 자블라니는 남아공 토착 언어인 줄루어로 ‘축제를 위하여’라는 의미다.     브라주카(BRAZUCA) 2014 브라질 월드컵   브라주카는 브라질 국민들의 투표로 이름이 지어졌고, 그 의미는 브라질 사람들의 삶의 방식을 기념하는 이름이다.(브라주카는 포르투갈어로 ‘브라질 사람’) 공은 열 접착된 6개의 패널로 제작됐는데 2010년 자블라니보다 2개의 패널을 축소했다.     줄어든 패널 수 덕분에 자블라니의 단점인 불규칙적인 공의 움직임을 어느 정도 보완했다. 브라주카의 파란색, 녹색, 빨간색, 흰색, 검은색은 브라질의 소원 팔찌에서 영감받았으며, 곡선은 아마존 강가를 표현했다.     텔스타 18(TELSTAR 18) 2018 러시아 월드컵   아디다스는 1970년대 월드컵에서 사용한 공인구 텔스타의 이름을 다시 사용한다. 오리지날 텔스타의 클래식하고 전형적인 축구화의 모양을 2018년엔 픽셀 디자인으로 재탄생시켰다.     디자인적인 요소의 변화뿐만 아니라 기술적인 변화도 있다. 오각형과 육각형, 총 30개의 패널로 제작된 오리지날 텔스타와 달리 ‘텔스타 18’은 단 6개의 패널로 제작되었다. 얼마 전 열렸던 컨페더레이션스 컵의 공인구 크라사바와 많은 부분 유사하다. 또한 텔스타 18은 표면에 마찰을 높이는 재질은 텍스쳐 어퍼가 적용되어 있어 선수들의 드리블과 볼 터치가 더욱 정교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축구화의 모든 것 All that boots

11월07일

[오피셜] '중원의 지배자' 피를로, 현역 은퇴 선언

[오피셜] '중원의 지배자' 피를로, 현역 은퇴 선언       안드레아 피를로가 그라운드를 떠난다.  6일(현지시간) 영국 매체 ‘BBC’를 포함한 다수 언론들이 피를로의 SNS를 인용해 관련 소식을 보도했다.  피를로의 은퇴는 이미 예견된 사실이었다. 얼마 전 영국 매체 ‘미러’는 "피를로가 미국메이저리크사커 일정이 종료되는 대로 현역에서 은퇴한다.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오는 12월 현역 은퇴 의사를 발표했다”라고 보도한 바 있다.  피를로는 2011년 AC 밀란을 떠나 유벤투스 유니폼을 입었다. 유벤투스에서 164경기를 소화하며 19골 38도움을 기록했다. 안정적인 볼 배급으로 유벤투스 중원을 지휘했다. 2014/2015시즌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 진출에도 크게 공헌했다. 2015년 미국으로 떠나 축구 인생 황혼기를 맞이했다. MLS에서도 중원의 지배자라는 수식어는 사라지지 않았다. 하지만 세월의 무게까진 이기지 못했고, 결국 피를로는 뉴욕시티의 계약 기간은 오는 12월 31일을 끝으로 축구화를 벗게 됐다. 피를로는 “MLS의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뉴욕시티와의 시간이 끝날 때 몇 마디 하고 싶다”라며 “이 도시에서 내게 보여준 모든 친절과 지원에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라며 운을 뗐다.  이어 “팬, 코칭스태프, 내 동료들 모두에게 고맙다. 내가 뛰었던 모든 팀, 동료들과 함께할 수 있어 기뻤다”라며 은퇴 소감을 전했다.  한편 일각에선 피를로가 유벤투스 앰버서더로 제2의 인생을 누릴 거라 전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영국 매체 ‘BBC’ 홈페이지 출처 스포탈코리아

11월0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