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6 더코와 1617 더코의 차이점 .gif (부제: 펩 뮌헨과 안첼로티 뮌헨 체제의 차이점)

1516 전반기 센세이셔널한 돌풍을 일으킨 더글라스 코스타. 현재 타팀 팬들 사이에서 부진하다는 소문이 돌고 있습니다. 사실 부진하다는 표현보다는 전시즌보다 부족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표현이 더 알맞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1617시즌도 평타 정도의 활약은 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확실히 두 시즌을 비교했을 때는 부진한 것이 사실입니다. 과연 더글라스 코스타가 올시즌 부진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본인 스스로의 폼이 전시즌보다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 이유이자 핵심적인 이유는 펩 체제에서의 위치 및 역할과 안체로티 체제 하의 위치와 역할이 달라졌습니다. 두 번째 이유는 올시즌 뮐러와 코망의 부진의 이유이기도 합니다.   1. 본인 폼의 저하 밑에 있는 움짤은 1516시즌의 더글라스 코스타입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할 수 있는 개인 전술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16/17시즌의 더코는 공간이 없는 상황에서는 전혀 힘을 쓰지 못했습니다. 즉, 감독의 전술과 별개로 개인 폼이 하락한 것도 어느정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1번의 이유는 사실 2번의 이유와도 연관되어 있습니다.     2. 펩 체제에서의 위치 및 역할과 안체로티 체제 하의 위치와 역할의 차이   펩 시절 더코와 안첼로티 하의 더코의 차이는 주로 뛰는 위치와 역할의 차이입니다. 우선 펩은 더코에게 공간을 만들어주었습니다. 바로 아이솔레이션(OVERLOAD TO ISOLATE)를 이용해서말이죠. 밑에 사진들을 보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검은색 원으로 표시한 선수가 더글라스 코스타입니다. 밑에 3장의 사진들을 보면 더글라스 코스타는 타 뮌헨 선수와 달리 왼쪽 사이드 편에 깊숙이 고립되어 배치됩니다. 반면, 뮌헨의 선수들은 반대편에 밀집합니다. 반대편의 의도적으로 밀집되어있는 뮌헨의 선수들은 공을 돌리다가 순식간에 반대편에 고립된 더코에게 전환패스를 넣어줍니다. 바로 이 전술이 펩이 자주 사용하는 아이솔레이션입니다. 코망 또한 이 전술의 수혜자입니다. 아이솔레이션 덕분에 더코는 상대 풀백과 일대일 상황을 맞이하게 되며, 본인의 폭발적인 스피드와 개인기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밑에 있는 두 움짤은 실제 아이솔레이션이 일어나는 장면입니다.       펩의 아이솔레이션은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중앙의 의도적 밀집과 양 측면의 의도적 고립의 형태도 아이솔레이션의 또다른 형태입니다. 밑에 세 사진을 보게 되면 왼쪽의 더코와 오른쪽의 로벤은 의도적으로 양 사이드라인 깊숙이 위치합니다. 반면 타 선수들은 중앙에 밀집해서 상대 선수들을 중앙에 묶어놓습니다.         밑의 움짤은 실제 두 번째 형태의 아이솔레이션이 일어나는 장면입니다.       반면 안첼로티 하의 더코는 위치와 역할이 바뀌게 됩니다. 이는 코망에게도 해당되는 사항입니다. 안첼로티는 왼쪽 윙어를 경기 중에 중앙쪽으로 이동시키고 왼쪽 풀백인 알라바를 측면쪽으로 전진시킵니다. 왼쪽 윙어는 윙어의 역할보다는 오히려 공미스럽게 활동하게 됩니다. 반대 편의 로벤은 조금 더 포워드적으로 움직이는 대신에 왼쪽 윙어를 미드필더스럽게 움직이면서 밸런스를 맞춥니다. 안첼로티는 펩에 비해 포지셔닝과 전술이 보수적입니다. 펩은 경기 중에 포지션 파괴가 당연스럽게 일어나지만 안첼로티같은 경우는 선수들이 각 포지션에 위치시키며 경기 운영하는 것을 더욱 좋아합니다. 따라서 펩의 아이솔레이션같은 의도적 밀집과 의도적 고립같은 상황은 전혀 나오지 않게 되죠. 리베리같은 경우 좁은 공간에서의 드리블이 장점이고 공미스러운 움직임을 잘 가져가기 때문에 안첼로티 하에서 더 잘하게 됩니다. 하지만 직선적인 움직임이 장점이 더코와 코망은 안첼로티의 변형된 전술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개인의 폼 또한 저하되게 됩니다.   밑에 세 사진을 보면 실제로 더코는 중앙에 들어와서 미드필더스럽게 활동하는 대신 그 자리에 알라바가 전진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더코는 본인의 장기인 스피드와 돌파를 활용하지 못하게 됩니다.         사실 펩의 전술과 안첼로티의 전술 중 무엇이 더 우월하다 하는 것은 없습니다. 다만 더코와 같은 경우 조금 더 측면 플레이에 강점이 있는 선수이다 보니깐 안첼로티 전술 하에서 희생당했습니다. 물론 본인의 폼의 문제도 있지만 부진의 원인이 모두 본인에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분명히 더코에게 공간을 만들어줄 수 있고 사이드 플레이라는 롤을 줄 감독을 만난다면 엄청난 크랙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자원임이 확실합니다.        출처 - 아이라이크사커(민초 님)  

04월22일

맨체스터 시티 유스계의 황태자.gif

[맨체스터 시티 유스계의 황태자.gif]   맨체스터 시티는 마누 가르시아를 15살때 스포르팅 히혼에서 데리고 왔습니다. 맨체스터 시티로 데리고 올 때 당연히 레알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등 다양한 빅클럽들이 그를 노렸지만 그의 선택은 맨체스터 시티였습니다.(단장이 치키 베기리스타인의 공이 컸다고하네요.)   (현재 퍼스트팀에 필 포덴과 브라힘 디아즈가 있었는데 이 두 선수가 퍼스트팀으로 올라오기 이전에 가장 높은 기대를 받던 유스는 단연 마누 가르시아였습니다. 펩 과르디올라가 부임한다는 소식이 있었을 때 이러한 마누 가르시아는 펩에게 제격인 선수이고 어떻게 키워낼 것인가가 주요 관심사였죠)   마누 가르시아는 맨체스터 시티 유스의 엘리트 코스를 밟았고 올해의 장학생도 수상한 엘리트 중 엘리트입니다. 차세대 다비드 실바라고 불리며 양발을 사용할 줄 아는 그는 뒤에 눈이 달렸다고 할 정도로 넓은 시야로 스페인 연령별 국가대표팀 차출된 바 있습니다.(물론 다비드 실바보다는 좀 더 아래에서 플레이하기도 합니다.)   2016년(15/16시즌)<프리미어 리그, U-21프리미어리그,U-18프리미어리그, 캐피탈 원컵, FA컵,U-21프리미어리그 인터내셔널컵, UEFA 유스 챔피언스리그>총 8개 대회를 소화한 바 있습니다.   EDS까지 완벽하게 엘리트코스를 밟은 마누 가르시아는(당시에도 수준 높은 퍼스트팀의 장벽으로 인해)알라베스로 임대를 떠나게 됩니다. 하지만 임대는 실패였죠. 임대 계약을 중도 해지한 마누 가르시아는 임대갈 수도 있다는 루머가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네덜란드 브레다로 임대를 가게 됩니다. 이후 한번 더 임대 연장을 하여 현대 브레다에서 2시즌을 보내고 있습니다. 다음 시즌을 앞두고 여러 유스들에게 기회를 주게 될 프리시즌에서 펩은 아마 마누 가르시아에게 기회를 줄거라고 봅니다. 이는 더글라스 루이즈나 마페오, 앙헬리노와 같은 선수들도 마찬가지겠죠.    하지만 현실적으론 현재까지 보여주고 있는, 보여줬던 퍼포먼스를 마누 가르시아가 계속해서 보여준다면 지로나로 한번 더 임대를 가서 스페인 리그 경험을 쌓게 해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재 마누 가르시아에게 헤타페, 로마 등 다양한 클럽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펩과 시티는 자신들이 가지고 있던 보석이라고 불리는 이 선수에게 어떠한 결정을 내릴지 궁금해지네요.    <현재 마누 가르시아의 브레다 임대시절 플레이를 담은 움짤입니다.> ** 7번째와 8번째 사진은 마누 가르시아의 원더골로써 연결해서 보시면 되겠네요.                          출처 - 아이라이크사커(아이유♥ 님)

04월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