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 헨더슨에 대한 진실 그리고 전진패스

[에코 - 헨더슨에 대한 진실 그리고 전진패스]   By Ian Doyle Liverpool Reporter 18:00, 26 NOV 2018     소위 헨도를 못마땅해 하는 사람들에겐 그를 비난하는데 있어서 더이상 변명의 여지가 필요없다고 여기는 듯 하다.   따라서 지난 왓포드전에서 불필요한 레드카드를 받은 점은 그들에게 다음 라운드에 나오지 말라고 주장하는 것에 탄력을 불어넣었다.   헨도는 전 세계에 포진한 열성적이고 냄비성있는 콥들에게 일말의 리스펙도 받지 못해왔다.   이날의 퍼포먼스를 몇몇은 못본 채 눈감아 줬지만, 한달 만에 지니를 따라 6번롤로 첫번째 선발 출전한 이 선수에게 온갖 공개적인 모욕이 뒤따랐다.   무엇보다 헨도는 아마도 너무 의욕이 앞서 무리한 플레이를 펼진 점에서 유죄였다.   이 잉글랜드 선수에 대한 통상적인 비판은 볼을 다루는 방식에 있었고, 특히 전진패스에 대한 비판이 늘상 있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은 과연 정당한가?   통계자료가 항상 정답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떤 특정한 부분에 대해 시사해주는 바는 있다.   이번시즌 프리미어리그에서 헨도는 456번의 패스를 성공시켰고 그중 28%가 전진패스였으며, 33%가 백패스였다.     리그 내 탑6에서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미드필더들과 비교해보자.   맨시티의 페르난지뉴는 21%가 전진패스였고, 잉글 국대에서 직접적인 경쟁자이기도 한 토트넘의 에릭다이어는 27%가 전진패스였다.   첼시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조르지뉴는 25%가 전진패스였으며, 맨유의 네마냐 마티치는 22%가 전진패스 비율이었다.   오로지 아스날의 그라닛 쟈카만이 30%로 헨도보다 더 높은 수치의 전진패스 비율을 기록했다.     물론 이 팀들중 어떤 팀도 리버풀과 완전 같은 방식으로 플레이하진 않으니 이러한 비교에 맹점이 있을 순 있다.     그렇다면 팀내에 다른 미드자원들과 비교하면 어떨까?   지니 날둠과 제임스 밀너는 헨도보다 백패스 횟수도 훨씬 많았지만 30%의 비율로 전진패스 비율 또한 높았다.   나비 케이타의 경우 샘플수가 상당히 적음에도 불구하고 33%의 전진패스 비율, 44%의 백패스 비율을 기록하며 앞선 선수들과 비슷한 양상을 드러냈다.     한편, 파비뉴는 26%의 전진패스, 42%의 백패스 비율을 기록했다.     아마도 헨도에게 적용될 수 있는 한가지 비판 포인트는 횡패스를 고집하는 그의 성향이다.   그는 모든 패스 중 39% 비율로 횡패스를 뿌렸으며, 이는 리버풀 미드 자원중에 가장 높은 수치이다.   팬들이 그를 비판하는 점에 타당한 이유가 없진 않지만, 앞서 말했듯 백패스 수치를 이유로 비판할거라면, 차라리 그보단 횡패스를 고집하는 그의 성향을 바꾸는 노력을 하라는 비판이 더 적절하다.   그의 백패스 비율은 엄연히 비슷한 위치에서 뛰는 앞서 언급된 다른 선수들보다 더 적기 때문이다.     이런 데이터에도 불구하고 헨도가 전방을 보지 않는다는 팬들의 비판이 종식될 것인가? 아마도 그렇진 않을것이다.   https://www.liverpoolecho.co.uk/sport/football/football-news/truth-liverpools-jordan-henderson-forward-15466768     1차 출처 - 안필드 코리아 2차 출처 - 아이라이크사커

11월27일

축구화에 전범기?!

일본 GAVIC(가빗쿠)브랜드의 로고는 우리에겐 민감한 전범기와 많이 닮아 있는데요. 우리에겐 익숙하지 않은 브랜드이기 때문에 충분히 오해할 수도 있습니다.  가빗쿠의 브랜드는 'Gain In Victory' (승리를 잡다)에서 GA + VIC이 합쳐진 신조어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래서 마치 전범기를 닮은 가빗쿠의 브랜드 로고는 첫 이니셜 'G'를 11(축구팀 11명)개의 모형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오늘은 가빗쿠에서 나온 새로운 축구화를 소개해 드릴 텐데요.   MATHIEU ICHI Ten Jin     어퍼에 최상급 캥거루 가죽이 두껍게 사용되었으며 인프런트 부분의 스티치 간격을 넓혀 보다 천연가죽의 터치감을 극대화했습니다. 반대로 아웃프런트 부분에는 박음질을 세밀하게 적용해 가죽의 늘어남을 방지했죠.       중족부와 뒷부분은 모렐리아 네오 2와 같이 인조가죽을 사용했습니다. 인사이드에는 히가키 패드(포론 소재)를 부착하여 볼의 더 안정감 있게 컨트롤할 수 있다고 합니다.       분리형으로 보이는 짧은 텅에는 쿠션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넓은 축구화 구조는 아시아인들에게 최적화되어 있다고 합니다.     인솔 후면에는 포론 소재가 들어가 쿠셔닝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가빗쿠 축구화 전용 Pebax 아웃솔은 인조 잔디, 천연 잔디 모두 사용할 수 있다고 하네요.       사이드스텝, 디딤 발 고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바깥쪽 스터드의 모양을 반원으로 제작했습니다. 또 축구화 가장 앞 부분에 전진 동작에 도움이 되도록 짧은 2개의 스터드가 있습니다.     이 축구화의 가장 놀라운 점은 바로 가격인데요. 약 13,000엔. 최상급 캥거루 가죽과 포론 소재가 들어간 축구화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상당히 매력적인 가격입니다.         축구화의 모든 것 ALL THAT BOOTS

11월27일